-
단백질 보충제 WPC WPI 비교 차이점영양제 정보 2023. 7. 12. 20:20반응형
목차
- WPC
- WPI
- 유당불내증
- 비교 선택
- 가장 중요한 운동하는 피콜로의 실제 복용 후기!!
WPC(Whey Protein Concentrate: 농축유청단백)
WPC는 단백질 보충제 중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형태입니다. 우유에서 얻어지는 치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, 단백질 함량이 높은 편입니다. WPC는 비교적 저렴하고, 기능적으로 우수한 영양소를 제공합니다.
단백질 함량은 약 70-80% 정도이며, 지방, 탄수화물, 유당(lactose: 락토스), 미네랄, 비타민 등의 다양한 영양소도 함유하고 있습니다. 소화와 흡수가 빠르며, 근육 회복과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.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WPI(Whey Protein Isolate: 분리유청단백)
WPI는 WPC에 비해 순도가 높은 단백질 보충제입니다. 치즈 생산 과정에서 더욱 깊이 정제되어 단백질 함량이 높고, 지방과 락토스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. 단백질 함량은 약 90-95%로, WPC보다 높은 순도를 자랑합니다. 소화와 흡수가 빠르며, 근육 회복과 성장을 지원합니다.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적합한 선택지입니다.
하지만 WPI는 WPC에 비해 비용이 조금 더 비싸고, 맛이 좀 더 강하거나 인공적인 맛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.
유당불내증이란?
유당(lactose)을 소화하는 데 필요한 효소인 락타아제(lactase)를 생산하지 못하거나 충분히 활성화하지 못하여 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. 이로 인해 유당을 소화할 수 없어 소화관에서 문제가 발생하며, 일반적으로 유당을 함유한 음식 또는 음료를 섭취할 때 나타납니다.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복부팽만감과 복통
- 가스 생성과 과다 방출
- 설사 또는 변비
- 메스꺼움 또는 구토
- 복부의 울렁거림
유당불내증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. 유당분해효소인 락타아제(lactase)를 생산하는 유전자의 변이 또는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또한 유당불내증은 유당 흡수에 관여하는 기타 효소의 부족과 관련될 수도 있습니다.
반응형비교
WPC WPI 단백질 함량 70~80% 90~95% 락토스(lactose, 유당) 일부 함유 대부분 제거됨 맛 좀더 자연스러움 인공적인 맛 가격 저렴한 편 비교적 비쌈 어떤 단백질 보충제를 선택해야 할까요?
- 예산이 제한되어 있다면 WPC가 더 경제적인 선택일 수 있습니다.
- 유당불내증이 있거나 순도가 더 중요하다면 WPI가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.
- 둘 다 시도해보고 개인의 취향과 목표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운동하는 피콜로의 단백질 보충제 WPC, WPI 복용 후기
운동을 하면서 다양한 회사의 단백질 보충제를 먹어봤는데요. 마이프로틴, 신타6, 칼로바이 등 해외 제품 뿐만 아니라 국내 생산 제품도 먹어봤습니다. 회사별로 맛도 다르고 제품마다 맛이 다 다릅니다. 하지만 이번 포스팅의 주제에 맞게 WPC, WPI 관해 말씀드릴게요. 두가지 모두 우유가 원료의 베이스이다 보니 특유의 우유 비린맛이 날 수 있습니다.
위에서 언급했듯이 WPC는 그래도 비교적 자연스러운 맛이 납니다. 그리고 다양한 영양소를 추가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보디빌딩 선수이거나 극한의 다이어트를 하는 상황이라면 개인적으로 WPC를 추천합니다. 우리의 몸은 단백질뿐만 아니라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필요로 하거든요.
WPI는 좀더 단백질 함유량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. 맛에 대해서는 포기하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.ㅠㅠ 그리고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라면 필수적인 선택이겠습니다. 하지만 가격이 더 비싸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요. 한번만 사먹고 말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말이죠.
반응형'영양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행하는 여름 독감 예방 비타민C 효능 (2) 2023.07.15 베타 알라닌(B-alanine) 근성장 부스터? (0) 2023.07.14 복합 탄수화물 vs단수 탄수화물 다이어트 영향 (0) 2023.07.13 오메가3(omega3) 효과와 부작용 먹는방법 (0) 2023.07.11 크레아틴(creatine) 효과와 부작용 먹는방법 (0) 2023.07.10